지원우선순위(Force Activity Designator) 격상은 가능한가
군에서 일할 때 군수지원에 있어 우선순위를 논할 때 미국정부는 지원우선순위에 맞춰서 지원을 하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지원우선순위(FAD)입니다. 오늘은 FAD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FAD의 정의
부대의 임무 중요성을 나타내는 부호로, FAD가 격상되면 부품 및 지원에 대한 미국의 지원속도가 빨라지고 우선순위가 높아집니다.
FAD의 용도
긴급성 필요 지시자(Urgency Naccesary Designator)와 함께 사용되어 공굽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메트릭스를 형성합니다.
FAD의 중요성
FAD의 격상은 군사 작전에서 필요한 자원의 지원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또한 높은 우선순위는 군사 작전의 요율성을 높이고, 자원의 배분을 최적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론적으로, FAD는 주로 미군 군대와 동맹국에 적용되는 군사 작전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국가별 FAD 등급
◆ 1등급(Ⅰ) 동맹국 : 가장 높은 지원 우선순위
영국: 미국과의 긴밀한 군사 및 정보 공유 관계를 유지
캐나다: 북미 방어 및 NATO 동맹으로서의 역할이 중요
호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군사 협력과 정보 공유가 활발
뉴질랜드: 미국과의 방위 협정 및 군사 훈련에 참여
◆ 2등급 (Ⅱ) 동맹국 : 높은 지원 우선순위
NATO 국가들: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일원으로, 미국과의 군사적 협력이 중요
이스라엘: 중동에서의 전략적 동맹으로, 군사 지원이 활발
일본: 아시아에서의 미국의 주요 동맹국으로, 방위 협력이 강화되고 있음
◆ 3등급(Ⅲ) 동맹국 : 중간 지원 우선순위
한국: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의 군사적 협력이 필요함
사우디아라비아: 중동에서의 안정성을 위해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함
기타 국가들: 다양한 이유로 미국과의 군사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 4등급(Ⅳ) 동맹국 : 낮은 지원 우선순위
◆ 5등급(Ⅴ) 동맹국 : 가장 낮은 지원 우선순위

미국의 동맹국들은 FAD 등급에 따라 군사 지원의 우선순위가 다르며, 이는 각국의 전략적 중요성과 군사적 협력의 깊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러한 등급 체계는 미국의 외교 및 군사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군에서 일할 때도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었는데요. 우리나라가 FAD 3등급이라니...
한국은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는 국가일 뿐 미국의 국익과는 무관하다는 것으로 이해되는 아이러니한 내용입니다. 대중국 견제의 역할을 감안한다면 우리나라는 2등급으로 격상이 되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합니다.
'조직문화 연구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군과 미국방부의 이해상충 규범원칙을 알아볼까요 (0) | 2025.03.24 |
---|---|
미군의 대외활동 기준(Outside Activities Rule)을 살펴볼까요 (0) | 2025.03.21 |
조직에서 조직원의 거짓말을 멈추는 방법 (0) | 2025.02.19 |
조직에서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세 가지 기준 (0) | 2025.02.19 |
PBL 계약이 적절하게 구성되고 실행되기 위한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1)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