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직문화 연구자료

조직에서 조직원의 거짓말을 멈추는 방법

반응형

조직에서 조직원의 거짓말을 멈추는 방법

 

 

거짓말은 상황적 특성과 개인적 차이의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많은 조직문화 연구에 따르면 거짓말과 부정직한 행동은 조지기 내에서 매우 흔하다고 합니다.

 

아마도 조직원이 거짓말을 하는 이유 중에 하나는 타인이 본인의 거짓말을 알아차리기가 어렵다는 이유일 것입니다.

 

 

 

 

200개 이상의 연구를 통한 내용을 보면, 사람은 단 47%의 경우에 거짓말을 하는 사람을 알아냈는데, 이는 무작위적인 선택보다 더 못한 결과라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참과 거짓의 가능성은 50%이니까요.

 

그러면, 수사기관에서 많이 사용하는 거짓말탐지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거짓말탐지 기술 중 하나는 사람의 신체언어를 연구하는 것인데, 연구자는 신체언어만으로 거짓말을 알아차릴 확률이 무작위 추측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즉,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거짓말을 알아차릴 수 있는 확률은 50% 미만이라는 것이죠.

 

반응형

 

 

또 한 가지 예를 들면 경찰이 사용하는 한 가지 방법은 사람이 거짓말을 할 때 눈동자가 오른쪽 위를 쳐다본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기법을 실증해내려고 했던 많은 연구자들은 그 이론을 입증할 수 없었다고 하는데요. 또 다른 연구로는 거짓말을 하는 경우의 얼굴 표정을 연구하는 것이었지만 마찬가지로 입증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종종 특정상황, 예를 들면 면접이나 영업상황 시에 필요하거나 정직하기 어려울 수 있는 경우에 거짓말을 정당화하려고 하지만 결국 거짓말은 조직의 의사결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줍니다. 

 

관리자와 조직원은 사실이 왜곡되거나 자기 행동에 대한 동기를 거짓으로 제시하면 좋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없습니다. 또한 거짓말은 큰 윤리적 문제이기도 하죠.

 

조직의 관점에서 화려한 거짓말탐지 기술을 사용하고 거짓말쟁이를 함정에 빠트리는 것은 조직 내 조직구성원 간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조직 내에서 거짓말에 대한 가장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해결책은 조직행동을 통해서 가능하다고 합니다. 

 

즉, 인간의 자연적인 본성을 이해하여 거짓말을 유도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거짓말을 방지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합니다.

 

반응형